-
감기(코로나19, 오미크론) 대비 상비약먹는약 2022. 8. 9. 15:19
안녕하세요!
사라질 줄 알았던 코로나19가 변이에 변이를 거쳐 다시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언제쯤 뉴스에서 코로나 이야기를 듣지 않을 수 있을까요
마스크는 대체 언제쯤 벗고 자유를 누릴 수 있을는지~~
요즘 재유 행하는 오미크론을 대비해서,
혹은 감기에 대비해서 어떤 약을 상비약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1. 발열, 근육통에 사용하는 약 (타이레놀정 500mg)
많이들 아시는 타이레놀정 500mg의 주성분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발열, 근육통 등 웬만한 통증에 모두 복용하셔도 됩니다. 12세 이하 어린이들은 타이레놀정 160mg, 80mg을 추천해드립니다.
두통, 발열, 오한, 몸살 등 감기 기운이 있을 때 가장 자주 사용되는 약 성분입니다.(아세트아미노펜)
큰 부작용도 없어 어린아이와 임산부도 사용 가능합니다.
단순 통증(두통, 요통 등)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상비약으로 많이 가지고 계시는 약입니다~
또한 세토펜, 타세놀 등 도 같은 성분(아세트아미노펜)으로 효능에는 차이가 없으니, 마찬가지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이부프로펜 (부루펜, 이지엔 애니, 애드빌), 덱시부프로펜 (이지엔 프로, 덱스쿨, 덱스피드) 등 소염 진통제도 구비해 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타이레놀과 부루펜의 가장 큰 차이는 '소염' 기능입니다.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약효예요. 그래서 타이레놀의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은 해열젠 통제, 부루펜의 이부프로펜은 소염진통제로 불리기도 한답니다.
부루펜도 역시 마찬가지로 발열, 근육통에 복용 가능하며, 아세트아미노펜과 교차 복용도 가능합니다.
타이레놀은 4시간마다 1정, 마찬가지로 부루펜도 4시간마다 1정씩 복용 가능하여 2시간 간격으로 타이레놀과 부루펜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각 약의 하루 초과용량이 넘으면 안 됩니다.
약을 교차 복용하고서도 2~3시간 이상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2. 감기의 제 증상-콧물,코막힘, 기침, 가래, 인후통에 사용하는 약
오미크론이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동반되는 콧물, 코막힘, 인후통 등에도 일반적인 일반약으로 판매되는 감기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씨콜드플러스 코프 정,콜대원 코프 에스의주성분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타이레놀과 동일하지만 일반적으로 복용하는 타이레놀 500mg보다 용량이 적어 통증이 심하지 않고 기침, 가래, 인후통 등이 있을 때 복용하시면 좋습니다.
<기침감기에 사용하는 씨콜드 코프, 콜대원 코프에스>반면, 콧물, 코막힘 등 증상이 문제가 된다면 시노카엔 캡슐, 코메키나 캡슐, 씨콜드 플러스 노즈, 콜대원 노즈 에스 시럽 등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침과 코감기에 대한 약제를 함께 복용할 경우에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중복될 수 있어, 씨콜드 플러스, 콜그린 에이, 펜싹콜 등 두 증상을 모두 치료하는 종합 감기약 한 가지만 복용하시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3. 소화불량, 위부팽만감 등에 사용하는 약 (닥터베아제정)
격리로 인해 하루 종일 집에서만 생활하다 보면 쉽게 소화불량이 생길 수 있는데요, 그때 닥터베아제정을 추천드립니다. 주성분은 비오 디아스타제와 시메치콘으로 비오 디아스타제는 탄수화물의 소화를 돕고 시메치콘은 가스제거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훼스탈 플러스 정도 유명한 소화제 중 하나입니다.
탄수화물을 소화시키는 셀룰라제, 판크레아틴과 가스제거에 효과가 있는 시메티딘, 지방성분(고기나 파스타 등 기름진 음식)을 소화시키는 우르 데옥시 콜산이 들어 있습니다.
베아제와 훼스탈 모두 리뉴얼되어 기름진 음식을 먹었을 때 소화시키는 성분도 첨가하여 나왔어요. 구매하실 때 약국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4. 복통, 설사에 사용하는 약(스멕타현탁액, 포타겔 현탁액)
오미크론 및 인플루엔자 감염의 증상으로 설사도 종종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포타겔 현탁액의 주성분은 디옥타헤드랄스멕타이트로 유명한 지사제인 스멕타와 동일합니다. 설사, 위.십이지장 통증에 복용 가능하며, 2세 이상 소아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타 약제와 시간차를 두고 복용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오늘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감염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감기 증상들에 사용할 수 있는 약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평소 자주 감기를 앓는 아이가 있는 경우 최소한의 상비약은 집에 구비해두어 그때 그 때 맞는 약을 사용하도록 해요~
며칠 전까지 굉장히 덥다가 갑자기 비가 많이 오네요.
장맛비가 그치면 좀 선선해지기를 기대하면서...
우리 모두 건강하게 마지막 여름을 보내요!!
'먹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감기에는 어떤 약을 먹어야 하나요? (0) 2022.09.05 속쓰릴 때 먹는 '제산제' 자세히 알아보기 (0) 2022.08.31 목아플 때 먹는 약 알아보기 (2) 2022.08.29 여름철 장염과 설사에 사용하는 약 (0) 2022.06.20 알레르기약 추천(두드러기, 비염, 콧물, 재채기 등) (0) 2022.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