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약

알레르기약 추천(두드러기, 비염, 콧물, 재채기 등)

똑쌤 2022. 6. 20. 11:59

알레르기약(항히스타민제)

 

  우리가 흔히 알레르기약이라고 부르는 것은 일반적으로 항히스타민제입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편에도 설명드렸는데 오늘은 보다 자세히 알아볼 거예요~

 

알레르기 증상은 보통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나타납니다.

혹은 음식을 잘못 먹어서 나타나는 두드러기나 설사처럼 증상이 심한 경우도 있어요.

진드기, 강아지 털 같은 접촉으로 일어나는 두드러기 등도 역시 알레르기 반응에 해당합니다.

 

꽃가루, 먼지 등으로 인해 콧물이 나고 눈이 붓거나 온몸에 붉은 반점이 올라오고 간지럽기도 하지요. 이러한 두드러기와 가려움 증상을 완화하는 약을 우리는 보통 [항히스타민제]라고 불러요.

이런 항히스타민제는 많이 겪는 질환인만큼 종류가 다양하고 부작용도 다릅니다.

 

1. 히스타민이란 무엇인가요?

  히스타민은 외부 자극에 대하여 신체가 빠른 방어 행위를 하기 위해 분비하는 신경전달물질 중의 하나입니다. 즉, 상처가 난 곳이 붉게 부어오르며 통증을 느끼게 되는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물질입니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량을 늘리고, 백혈구를 불러 모읍니다. 또한 상처부위로 단백질의 공급도 촉진시키죠!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친구죠?

그. 러. 나 우리 몸에 침입한 것이 나쁜 물질이 아닌데도 세균이라 오해해 히스타민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 몸이 과잉대처를 하는 경우죠~ 이 상태를 우리는 알레르기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 항히스타민제(히스타민제에 대항하는 약)를 사용하여 과하게 분비되는 히스타민을 막아 두드러기나 가려움 등의 증상을 가라앉혀 줍니다.

 

2. 항히스타민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히스타민제는 1세대 2세대 3세대가 있는데 약의 기전별로 나뉘나 보통 최근에 개발된 약이 3세대입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가장 먼저 출시되었습니다. 빠른 효과가 특징입니다. 하지만 효과가 빠른 만큼 지속시간은 4~6시간에 불과해 알레르기 증상이 심할 경우 하루 3~4회 약을 계속 먹어야 합니다. 또한 졸음을 많이 유발하는 특징이 있어 잠들기 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졸음 부작용이 커서 오히려 이를 이용해 수면유도제로 쓰이기도 합니다)

   주요 성분은 '클로르페니라민'과 '트리 프롤리 딘'이 있습니다. 

 

    1) 클로르페니라민 성분 약(그린노즈 에스)

사진출처ㅣ약학정보원

 2세부터 사용할 수 있는 시럽약입니다. 효과가 빠르지만 지속시간이 짧고 졸림 정도가 강합니다.

비교적 어린 나이부터 복용할 수 있는 시럽약이므로 자녀가 있는 집에 구비해 두시면 좋습니다~

25도 이하에서 보관해야 하므로 개봉 후 냉장보관해주세요.

 

  2) 트리 프롤리 딘 성분 약(액티피드, 코스펜)

사진출처ㅣ약학정보원

액티피드와 코스펜 모두 동일성분의 약으로 효과가 빠르지만 지속시간이 짧고 졸림 정도가 강합니다.

비염이 있는 경우 자기 전에 먹는 것이 좋겠네요!

특히 학생 비염환자의 경우 밤에 코가 막힌 채로 자게 되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산소공급도 원활히 되지 않아 다음날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복용하면 좋습니다.

다만 12세 미만의 소아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고 12~14세의 경우 절반만 먹어야 해요!

  

< 2·3세대 항히스타민제>

비교적 최근 출시된 2·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졸음 유발 부작용을 크게 줄였습니다. '세리티진' '로라타딘' '펙소페나딘' 성분의 약이며 졸림 정도로 따지면 세리티진> 로라티딘> 펙소페나딘입니다.

2·3세대 약 중 가장 졸린 성분은 세리티진, 가장 덜 졸린 성분은 펙소페나딘입니다.

하지만 덜 졸릴수록 알레르기 완화 효과는 약한 편입니다.

간지러움이냐, 졸림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약을 먹고 운전을 해야 하거나, 위험한 장비를 써야 하는 등 집중이 필요한 일을 해야 한다면 덜 졸린 약을 골라서 드시기를 권합니다. 특히 노인은 약물의 부작용이 더 큰 경우가 많아 항히스타민제 복용 시 어지러움 때문에 넘어지는 등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3세대의 약효시간은 12~24시간으로 1세대보다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하루 1~2회 정도의 복용만으로도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지르텍의 경우 하루에 한 번(한 알), 자기 전에 복용해야 해요.

세리티진 성분(가장 졸려요) 로라티딘 성분(중간졸림) 펙소페나딘 성분(덜 졸려요)
지르텍






두드러기, 재채기, 콧물 완화 효과가 2,3세대 약물 중 가장 좋아요.
클라리틴







세티리진 계열보다 덜 졸립고 항히스타민 효과(항 알레르기)도 약간 더 떨어져요.
알레그라정, 펙소나딘정



가장 덜 졸립지만 알레르기 완화 효과는 떨어짐.
간 독성도 적어 간이 좋지 않은 환자들에게 적합해요.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약 중 하나인 항히스타민제, 통칭 알레르기약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만큼 개발도 잘 이루어져 1,2,3세대까지 나와 복잡할 수 있어요.

 

오늘은 너무 여러 가지 약을 알려드려 헷갈려 하실 것 같아 추가설명을 잠깐 드려보겠습니다^^

약은 여러가지 이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이름이 두 개예요! 바로 약의 성분명과 브랜드명입니다. 약의 성분은 '그 약이 어떤 성분을 포함하고 있느냐' 브랜드명은 '제약회사에서 지은 닉네임'입니다. 우리가 보통 알게 되는 이름은 브랜드명이에요.

가끔 약국에 가면 '그 약은 없는데 같은 성분으로 다른 약이 있어요. 그것으로 드릴까요?' 하는 이야기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성분은 같으나 제약회사가 달라 브랜드명이 다른 경우예요.

 

오늘 알려드린 다양한 종류의 항알레르기제!!

알레르기의 정도 및 졸림 정도로 컨디션에 맞게 사용하셔서 건강한 생활 보내세요^^!!